이전에 스테이블 디퓨전 webui에 대한 설치법과 사용법을 알아보았는데요
최근 ConfyUI라는 GUI프로그램을 많이 이용하고 있는데요.
이 글에서는 ComfyUI라는 GUI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좀더 빠른 SDXL 그림을 만들기 위한 프로그램 설치법과 실행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ComfyUI란?
강력한 모듈식으로 스테이블 디퓨전 GUI 및 백엔드 입니다. 이는 코드를 짤 필요 없이 노드, 그래프, 플로우 차트 기반으로 스테이블 디퓨전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아래 링크들은 다양한 예시들이 있습니다. 참고해 주세요
(사진이 잘 보이지 않는다면 우클릭 후 새탭으로 열기를 눌러 확대할 수 있습니다.)
- “Hires Fix” aka 2 Pass Txt2Img
- Img2Img
- Inpainting
- Lora
- Hypernetworks
- Embeddings/Textual Inversion
- Upscale Models (ESRGAN, etc..)
- Area Composition
- Noisy Latent Composition
- ControlNets and T2I-Adapter
- GLIGEN
- unCLIP
- SDXL
- Model Merging
ComfyUI 설치하기
우선 ComfyUI 깃허브에 들어가줍니다.
그 후에 Installing ComfyUI를 클릭해주세요
Direct link to download 를 클릭해 줍니다.
그 후에 적당한 위치에 압축을 풀어 주면, 여러 폴더와 파일들이 나열되어 있습니다. 실행하고 관리하기 위한 필수적인 요소들로, 각각의 폴더와 파일은 서로 다른 기능과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특히, 사용자의 시스템 사양에 따라 실행 파일을 선택해야 합니다. Nvidia 그래픽카드를 탑재한 컴퓨터를 사용하는 경우, run_nvidia_gpu.bat
을 실행하면 됩니다. 이 파일은 Nvidia GPU를 최적화하여 더 빠르고 효율적으로 동작하게 합니다.
그러나 Nvidia 그래픽카드가 없는 시스템에서는 run_cpu.bat
파일을 실행해야 합니다. 이 경우, CPU 기반으로 프로그램이 실행되기 때문에 GPU를 사용할 때보다 속도가 다소 느릴 수 있습니다. 이는 GPU가 병렬 처리에 특화되어 있기 때문인데, 그에 비해 CPU는 일반적인 연산에 더 적합하므로 그래픽 관련 작업에서는 상대적으로 느릴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실행 파일을 선택하고 실행하면, 설치 및 초기 설정 과정은 여기서 마무리됩니다. 전체 과정은 사용자가 쉽게 따라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몇 단계의 간단한 작업만으로도 원활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SDXL모델 설치하기
모델을 SDXL모델을 한번 설치해 보겠습니다.
우선 https://civitai.com/ 에들어가줍니다.
그 후에 검색 버튼 을 눌러줍니다. xl을 입력해 주시고 Keyword search를 눌러줍니다. 그러면 여러 checkpoint들이 나오는데 그림 좌측 상단에 checkpoint XL 글씨가 SDXL모델이라는 뜻입니다.
저는 SDVN7-RealArtXL모델을 다운받아 보았습니다.
다운로드 위치는 폴더안에 Models\checkpoints 폴더안에 넣어주시면 됩니다.
그림 생성해보기
이제 그림을 생성을 한번 해봐야겠죠
우선 모델을 선택해줍니다.
그리고 긍정프롬프트, 부정프롬프트를 입력해 줍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입력했습니다.
긍정 프롬프트 impressionist painting masterpiece,best quality, ultra realistic,32k,RAW photo,detail skin, 8k uhd, dslr,high quality, film grain,(masterpiece,best quality:1.5) cats 부정 프롬프트 (worst quality, low quality:1.5), (illustration, 3d, 2d, painting, cartoons, sketch),tatto,open mouth, teeth, (worst quality, low quality:1.5)
가로 세로를 1024로 만들어 줍니다.( SDXL은 720 x 720 이상의 그림 생성 적합합니다. )
샘플러는 일단 기본설정으로 했습니다.
만약 모델 로드목록이 안뜬다면 Refresh를 눌러줍니다. 이 버튼을 클릭하면 모델을 다시 로딩하여 선택될 수 있게 할 것입니다.
그 후에 Queue Prompt를 누르면 그림생성이 시작됩니다.
아래와 같은 그림이 형성되었습니다.
그림 출력 폴더는 Comfy\output\ 에 있습니다. 그림은 각각 19.96초, 19.51초, 17.92초, 18.00초가 걸렸습니다. 1024*1024 인데도 굉장히 빠른 속도를 보여줍니다.
webui와 ConfyUI비교
다른 글에서는 webui로 그림을 생성해 보는것을 알아 보았습니다.
함께 참고하면 좋은 글 설치법 및 사용법, 간단하게 원클릭 설치! 스테이블 디퓨전 xl(stable-diffusion xl) 사용 해보기
이 제 SDXL을 WebUi와 ComfyUI 이두 프로그램에 돌려 속도와 결과를 한번 비교해 보겠습니다.
프롬프트와 세팅은 동일하게 설정하고 비교해 보았습니다.
긍정 프롬프트 impressionist painting masterpiece,best quality, ultra realistic,32k,RAW photo,detail skin, 8k uhd, dslr,high quality, film grain,(masterpiece,best quality:1.5), 1girl, flower, bird, 부정 프롬프트 (worst quality, low quality:1.5), (illustration, 3d, 2d, painting, cartoons, sketch),tatto,open mouth, teeth, (worst quality, low quality:1.5)
ComfyUI 결과물
ComfyUI 결과물 입니다. 각 사진을 출력하는데 18~24초 사이가 걸렸고 결과물은 아래와 같이 나왔습니다.
WebUI 결과물
WebUI 결과물 입니다. 각 사진을 출력하는데 24~40초 사이가 걸렸고 결과물은 아래와 같이 나왔습니다.
결론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스테이블 디퓨전은 최근에 주목받는 기술 중 하나로, 다양한 프로그램과 웹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 기술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특히, 이번 글에서는 ComfyUI라는 웹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중점으로 설명하였습니다.
ComfyUI는 스테이블 디퓨전 GUI 및 백엔드를 모듈식으로 강력하게 제공하며, 코드 작성 없이 노드, 그래프, 플로우 차트 기반으로 스테이블 디퓨전을 손쉽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설치 과정도 간단하게 깃허브를 통해 제공되고 있으며, 다양한 모델을 쉽게 설치하고 활용할 수 있습니다.
SDXL 모델의 경우, 그림 생성에 특화되어 있으며, ComfyUI를 통해 1024×1024 크기의 그림을 빠르게 생성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실험 결과, ComfyUI는 WebUI보다 체감할 정도 빠른 속도로 그림을 생성해냈습니다. 그러나 출력 결과물은 두 인터페이스 모두 크게 차이나지 않았습니다.
물론, 이러한 비교는 제한된 환경과 조건에서 이루어진 것이기 때문에, 실제 활용 시나리오나 다른 환경에서는 결과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이 글을 통해 ComfyUI의 사용법과 그 효과를 쉽게 알 수 있었습니다.
최종적으로, 스테이블 디퓨전을 활용하려는 사용자들에게 ComfyUI는 간편하고 빠른 대안으로 좋은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모델과 기능들을 통해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활용도가 매우 높습니다. ComfyUI와 WebUI 모두 자신의 필요에 맞게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함께 참고하면 좋은 글
스테이블 디퓨전 xl(stable-diffusion xl) 사용 해보기
2 thoughts on “ComfyUI 설치 및 실행시키기(스테이블 디퓨전XL SDXL)”